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69)
리스트를 파일로 만들어두고 grep 수행하기 텍스트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는 라인을 추출하고자 할 때 grep 을 자주 쓰는데 가끔 특정 문자열이 2개 이상일 때, 어떤 리스트 형태의 문자열들을 검색 대상인 텍스트파일에서 찾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를 테면 아래와 같이 Target gene list 가 있고, 전체 gene list에 대한 annotation file이 있을때 # target_genelist.txt gene1 gene2 gene5 #all.gene.annotation.bed chr1 11011 11040 gene1 chr1 1101144 1104090 gene2 chr1 2311011 2511040 gene3 chr1 3411011 3911040 gene4 chr1 11011011 11016040 gene5 다음과 같이 Tar..
윈도우 -> 리눅스 텍스트파일 개행문자 제거 가끔 윈도우에서 생성된 텍스트파일을 리눅스로 옮겼을 때, 프로그램이 원하는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석사 초기에 이런 문제가 있었을 때에는 대체 뭐가 문제야(..) 하고 몇 날을 고민했던 적도 있었던 것 같은데 (가물가물) 박사과정에 접어드니 몇 가지 확인해 볼 것의 우선순위가 잡히게 됐다. 그것 중에 하나가 ^M 으로 표시되거나, 아예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 개행문자 이다. 파일을 읽어 처리하는 프로그램에서 개행문자와 관련해서 에러가 발생하는데 도저히 어디가 문제인지 모를 때, 혹은 외부에서 받은 파일을 검토할 때 확인해야 하는 사항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고 - vi 로 텍스트 파일을 열었을 때 상태 표시줄에 [dos] 라고 표시되거나, - 파일을 열었을 때 한 줄의 끝에 "^M" 표..
geultto5_END 뭔갈 하다 보니 시간이 이렇게 또 흘렀다. 또 다시 돌아온 회고는 어떻게 하지 타임. 누가 가르쳐 줬는 지 피해가는 법 만 배웠죠. 몇 번을 쓰려고 접속했다가 다른 일을 했다가 하며 방황하던 이 글에 다시 손을 대려니 문득 위와 같은 가사가 귓가에 흐른다. 물론 저 가사가 포함된 노래는 스스로에 대한 사랑을 약속하는 응원하는 노래이지만 피해가는 법 만 배웠다는 말에 괜히 찔리는 것은 단순히 기분의 문제만은 아닐테다. 회고 어떻게 쓰지 타임을 오래 끌기 싫어서 다른 사람들의 회고글도 조금 보고 내가 썼던 회고 글도 다시 뒤적여보는데 다짐 글에서도 "다짐 글을 쓰라던데 어떻게 쓰는 거였더라" 하면서 이전 글을 끄적거렸다는 글로 굳이 전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 모니터 뒤 행위들을 죄 나열해 써 두었더라..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