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과제의 성격을 잘 파악해야 함
- 작성 요령을 잘 반영 (써야 하는 항목에 해당하는 적절한 것을 작성)해서 작성할 것
- 읽고싶은 제안서를 작성하려고 노력해야 함
읽고 싶은 제안서 쓰기
- 해당 필드의 전문가가 아닐 사람이 제안서를 평가하게 될 수 있음
- 평가자는 보통 한 편의 제안서가 아니라, 여러 편의 제안서를 심사함
- 따라서 제안서는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읽고 싶다> 는 감상을 느끼게 해야 함
읽고싶은 제안서란?
- 심플한 제목
- 글이 지나치게 많은 것 보다는 적절한 summary figure를 활용하는 것이 좋음
- 아래와 같은 사항들을 고려한 제안서
연구목표의 설정
- 내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을 제시하되, 현실성이 있어야 함
- 이 정도 목표밖에 안 돼? VS. 이 목표 달성이 가능해? 사이의 줄을 잘 타야 함
- 연구팀 환경, 연구비 규모에 맞는 목표를 세워야 하며
- 분명하게 해낼 수 있는 항목은 무엇인지, 본인이 특별이 더 잘 할 수 있는 항목은 무엇인지가 드러나야 함
- 논리적이고, 현실적으로 타당한 실험 계획이 뒷받침 되어야 함
- 주목받는 핫한 연구주제가 아니더라도, 평가자가 해당 주제를 중요하다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설득하는 것이 중요
연구제안서의 집중력 유지
- 하나의 목표, 가설, 핵심 질문 하에 논리적, 현실적으로 타당한 실험 제안이 이루어져야 함
- 큰 틀에서의 흐름은 <제목> <현황> <연구 가설> <발전/contribution>, <기대효과> 임
- 두괄식 구조의 제안서가 읽기 편함
- 명확한 초점 없는 실험의 나열을 지양한다
연구 내용
- 하나의 목표, 하나의 가설을 증명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논리적으로 일목요연한 연결이 필요함
-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함
- 방향성 없는 나열은 역효과
- 읽는데 전문지식이 많이 필요한 경우에는 비유, 해석을 통한 의미전달에 집중하는 것이 좋음
기타 특이 사항
- 오타, 편집실수 등은 인쇄 후 퇴고해서 미완성도를 점차 낮추도록 해야 함
- 다년차 연구과제에서 앞년차의 과제 진행이 실패했을 때 이후 년차가 모두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므로 이전 연차의 계획이 실패하더라도 이후 연차가 다 무너지는 것처럼 보이지 않도록 계획서를 작성해야 함
아주 기본적이지만 중요한 사항
- 오타, 편집실수 등은 인쇄해서 직접 퇴고해서 미완성도를 낮춰야 함
- 일러스트레이션, figure 등을 넣는 경우는 핵심 개념을 쉽게 제시하는 용도로 사용, 해상도가 낮거나, 구별 불가능한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음
기타 첨언
- 시간을 많이 들여 쓰세요
- 다른 사람의 선정된 과제 연구제안서를 많이 참고해보기
- 씨앗 성과를 만드는데 에너지를 할애해보기
* 본 포스트는 아래 동영상을 보고 요약한 것입니다.
'Graduate student 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ultto5_END (0) | 2021.05.02 |
---|---|
그런 날 (0) | 2021.02.05 |
1월이 다 가기 전에 다잡는 올 한해 멋진 나! (0) | 2021.01.20 |
허튼 단상 (0) | 2021.01.06 |
2020년 회고와 2021년 계획 (0) | 2020.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