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69)
Human Complete Genome Assembly (T2T-CHM13)-1 개요 - 유전체 어셈블리 - Complete genome 의 완성 - Complete genome 살펴보기 - Complege genome 과 기존 참조유전체와의 비교 유전체 어셈블리 유전체 어셈블리 (유전체, 어셈블리, Genome assembly)라고 불리는 것은 흔히들 A, T, G, C 네 가지 문자로 쓰여있는 유전체 지도 책이라고 비유하는 유전체의 시퀀스를 해독한 염기서열 데이터이다. 여기에 '참조'라는 수사를 붙인 참조유전체(Reference genome, Reference assembly)는 특정 종이나 품종을 대표할 수 있는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유전체 어셈블리를 명명백백하게 구하는 일은 생물학계에서 오랜 숙제였다. 식물의 꽃 색, 완두콩의 주름짐 여부 등의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되는 인자가..
글또 7기 다짐 첫 글을 쓰려고 티스토리를 열었다 닫았다 하다보니... 글또를 이번 기수에 참여하는게 맞는 일이었을까? 하는 생각 한 스푼, 그럼에도 불구하고 꾸역꾸역 마감 맞춰서 다짐글이나마 써야겠다고 애쓰는 스스로를 보면서 그래도 하겠다고 하길 잘했다 하는 생각 한 스푼, 180명(?)의 개발자가 모여있는 공간에 어쩌면 애매한 포지션을 가지고 있는 인간이 들어와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또 한 스푼... 나는 생물학 글도 쓰고 싶은데 도메인 관련 내용 대신 개발글 만으로 7기를 완주할 수 있으려나 하는 막연한 걱정 한 스푼. 다짐한다는 글에 어울리지 않는 도입이긴 하지만 여러 생각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고 그렇게 다짐 한 그릇이 만들어 진 것 같다. # 지키지 못했던 이전의 다짐/계획 등을 들춰보기가 창피한 것은 기분..
인간 유전체 염기서열의 완성... 에 관한 단상 뱅크샐러드니 내 조상 찾기니 개인 유전체 분석이 한창 대중화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런 데에서 분석하는 것은 내 유전체 상에 존재는 변이 데이터 들인데, 그런 분석과 서비스가 "개인 맞춤형" 이라는 키워드를 앞세워 가능한 것은 인간종이 공유하는 유전체 시퀀스 외에 개개인이 가지는 변이가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개개인이 유전체상에 변이를 가진다는 것을 밝히기 위해서는 어떤 기준이 필요하다. 이처럼 생물종 유전체의 기준으로 쓰이는 유전체 정보를 참조 유전체 어셈블리라고 부른다. DNA 염기서열을 밝히는 기법이 개발된 이후로, 인간 종의 전체 유전체 염기서열을 밝히자! 는 목표 하에 1990년 10월 Human genome project가 시작되었고, 2001년, 첫 인간 종 참조유전체 어셈블리를 만들었으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