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9)
< 한 큐에 원하는 논문 찾는 법 > 본 글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전개됩니다.! 1. 논문 검색의 목적을 명확하게 한다. 2. 논문 검색 목적에 따른 논문 검색 방법 2.1. 막연한 상태에서 특정 분야를 공부하고자 하는 상태 2.1.1 특정 분야에 대한 공부를 계속하기 위한 논문 검색 2.2 연구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내가 보고자 하는 주제와 연관되는, 참고할 법 한 레퍼런스 논문 검색 2.3 새로운 연구과제 제안을 위한 선행연구 검색하기 2.4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찾기 위한 논문 검색 3.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한 각종 검색 팁 3.1 구글의 이미지 검색을 활용하기 3.2 영문으로 된 문서가 아직 익숙하지 않아 국문으로 된 레퍼런스를 찾는 경우 3.3 검색하기에 좋은 키워드를 설정하기 1. 논문 검색의 목적을 명확하게 한다. 논문을 찾고자..
Understanding P-value from CAFE results CAFE (Computational Analysis of gene Family Evolution) 프로그램은 gene family 크기의 진화 과정을 확률모델을 활용하여 예측하는 프로그램이다. Gene family의 크기의 진화를 예측하는 것인 만큼, 이 진화 과정에서의 이벤트는 gene family의 Expansion, Contraction으로 구분되고, gene family 규모의 변화가 짧은 시간에 큰 폭으로 이루어진 경우, rapidly evolving gene family로 분류된다. Gene family의 expansion, contraction은 영문 뜻과 동일하게 gene family의 규모의 확장, 축소를 의미한다. Gene family 의 규모(size)는 gene family에 속한 ..
In vitro Reconstitution of an ABA Signaling Pathway ABA는 식물에서 많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고 스트레스 저항성, 성장, 발달 등의 표현형에 주효한 역할을 한다. 여러 단백질이 ABA 수용체로 기능하고 있으며, 더 많은 단백질이 ABA 신호 전달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ABA 수용체의 기능 차원에서의 정체성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고 또한 ABA로부터 이어지는 신호 전달 기작 또한 불분명한 지점이 많은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연구에서 밝혀진 ABA 수용체 PYR1, 단백질 인산화효소인 2C ABI1,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SnRK2.6/OST1, 전사인자 ABF2/AREB1을 활용하여 ABA에 의해서 유도되는 인산화 기작을 재구성하였다. 앞서 제시한 네 가지 분자들을 원형질에 도입하면 ABA..
Rheostatic Control of ABA Signaling through HOS15-Mediated OST1 Degradation 탈수 스트레스는 abscisic acid (ABA)의 축적을 야기한다. ABA는 식물 스트레스 신호 호르몬으로 Snf1-related kinases (SnRK2s)를 활성화시켜 적응성 반응을 유도한다. ABA에 의한 SnRK2s 반응 과정까지는 밝혀졌으나, 그 반응이 어떻게 조절되어 종료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ABA 신호의 탈감작이 E3-ubiquitin ligase HOS15를 통한 OST1 (SnRK2.6) 단벡질의 안정성 조절에 의해 이루어지는 과정을 밝혔다. ABA 신호에 따라 HOS15로 인한 OST1의 분해가 억제되고 안정화된 OST1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유도한다. ABA 자극이 종료되면 protein phosphatases ABI1/2이 HOS15를 통해 ..
Epigenetic switch from repressive to permissive chromatin in response to cold stress 염색질 조절에서 억제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식물체가 생존하기 위해 중요한 생존 전략이다. 선행 연구에서는 WD40 repeat 단백질인 HOS15가 히스톤의 탈아세틸화 현상 및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관여하는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HOS15가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이외에 분자 수준에서의 기작은 모두 밝혀지지 않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HOS15가 histone deacetylase 2C (HD2C)와 상호작용하고, 두 단백질이 함께 저온 반응성 유전자인 COR, COR15A, COR47의 프로모터와 관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위에 의해 유도된 HD2C 분해는 HOS15가 기질 수용체로 작용하는 CULLIN4(CUL4) 기..
Involvement of Arabidopsis HOS15 in histone deacetylation and cold tolerance 염색질의 히스톤 변형은 유전자 발현 조절의 핵심 중 하나다. Histone acetyltransferase 혹은 histone deacetylase, WD40 repeat protein과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단백질 복합체가 염색질의 히스톤 변형, 그리고 그에 따른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한다. 더욱이 식물은 이동성을 지니고 있지 않으므로 변화하는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이에 따른 염색질 매개 후성유전학적 조절이 필수적일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식물의 환경에 대한 적응 반응에서 염색질 리모델링에 따른 전사 조절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염색질 리모델링에 의해 발생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 과정에 초점을 맞춰 애기장대에서 histone deacetylatio..
Molecular Regulation of CBF Signaling in Cold Acclimation 추위 스트레스는 식물로 하여금 생장, 발달 및 분포를 제한하게 한다. 따라서 식물이 온도 변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반응을 유발하는지는 오랜 동안 관심 대상이었다. 전통적인 유전학 실험 및 분자 분석법 등을 통해 C-repeat/ DREB binding factors (CBFs)가 저온 적응에 중요한 전사인자로 기능하는 것이 밝혀졌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CBF 의존적 신호전달에 pivotal protein kinases의 역할이 밝혀지고 있고, 저온 순응 이라는 현상을 관찰했던 것에서 관찰에서 유전자 발현 수준을 살펴보는 수준으로 연구 대상이 확장되었다. 식물의 추의 적응 과정은 CBF의존 경로를 통해 유지되고 식물은 추위스트레스에 대한 적당한 댕을을 한다. 저온 적응 기작은 저온 신호가 세포 막으로부..
A Single Amino-Acid Substitution in the Sodium Transporter HKT1 Associated with Plant Salt Tolerance 식물의 성장과 생존을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은 potassium uptake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애기장대에서는 High-Affinity K+ transporter (HKT1)과 다른 소금에 민감한 단백질은 증산 현상에서 Na+ 이온을 제거하여 염분 스트레스 저항성 표현형에 기여한다. 그러나 halophytic adabidopsis (Thellungiella salsuginea)에서는 HKT1의 사본 중 하나인 TsHKT1;2가 Na+ 이온이 있을 때 K+ 수송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아미노산 서열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개의 추가 T.salsuginea 식물체 및 대부분의 다른 HKT1 서열은 해당 위치에 Asn(N)을 포함한다. Wild type에서의 TsH..
TsHKT1;2, a HKT1 Homolog from the Extremophile Arabidopsis Relative Thellungiella salsuginea, Shows K+ Specificity in the Presence of NaCl 세포 내의 나트륨, 칼륨 이온의 비율은 식물의 염분 스트레스 저항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매개변수다. 본 연구에서는 the halophytic Arabidopsis (Arabidopsis thaliana) relative Thellungiella salsuginea 에서의 원형질막의 Na+/K+ cotransporters 기능을 시험하였다. T. salsuginea는 매우 적은 양 발현되는 TsHKT1;1과 충분한 양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TsHKT1;2 두 가지 종류의 HKT 유전자를 가진다. TsHKT1;2 유전자는 특히 염분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발현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했고, T. salsuginea에서 TsHKT 기반의 RNA 간섭은 Na+ 민감도와 K+ 결핍을 초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내 박사과정에 대해 주변 사람들이 알아주었으면 하는 것들 본 포스팅은 nature지에 기고된 Kate Samardzic님의 글[What I wish my friends and family knew about my PhD]을 국문으로 옮긴 것입니다. 서포트는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6개월 전, 나는 학위논문을 쓰다가 무너져 내렸다[had a meltdown]. 데이터 시각화 소프트웨어인 Cytoscape 앞에서 좌절했고, 지도교수로부터 논문 초안에 대한 혹평을 받고있는 스스로를 마주해야 했다. 내 멘탈은 그렇게 강하지 못했고, 반복되는 작은 좌절들은 스트레스가, 아닌 밤 중에 남몰래 흘리는 눈물이 되었다. 내가 대학원에 입학한 이후, 내 주변 사람들은 박사과정에 대한 이해가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두 가지로 나뉘어졌다. 입학 후 3년이 지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