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9) 썸네일형 리스트형 글또 6기 다짐글 아~ 정말. 2021년 초입에 글또 5기 다짐과 함께 계획을 조말조말 써 두었는데 참나 진도가 이렇게 안나갈 일이냐고.... 올 하반기는 조금 더 목표와 결과를 고려하면서 매진해서 프로젝트일, 내 일 모두 열심히 해서 졸업에 한 걸음 가까워 지는 것을 체감할 수 있는 시간을 보내야겠다고 생각했다. 올 초에 다짐으로는 뭔가 각이 나와서 저렇게 쓰지 않았나? 했는데 돌이켜보면 ... 아무래도 내 게으름이 크게 한 몫 했고 ㅋㅋ 내가 컨트롤 할 수 없는 외부 요인도 아주 없지는 않았다. 갑자기 생긴 일이라거나, 큰 규모 제안서 작성 건이라거나... 그리고 좋은 핑계가 되어주었고 ^^ ; 조금 더 친절한 글 /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글 을 쓰자는 다짐은 계속 했는데 이게 A 를 생가하자니 B 가 모자라고, B.. 왜 나는 뒤쳐진 것 같은 기분이 들까 ? 하는 생각에서 벗어나기. 남들이 ~ 하는 것에 연연해 할 시간에 내 연구에 매진하기. 생각보다 행동을 빠르게 하기 건강한 생활과 정신 유지하기 사실 어렵지 않은데 존나 어렵지. Release of SOS2 kinase from sequestration with GIGANTEA determines salt tolerance in Arabidopsis 식물 성장에 있어 환경문제는 보통 식물의 생장 지연과 개화 지연 또는 중단을 수반한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개화시간 조절기인 GIGANTEA(GI)와 염분 조건 하에서 GI분해를 기반으로 하는 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염분 스트레스로 인한 개화 지연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광주기 및 일주기 시계 제어 스위치인 GI와 SNF1 관련 단백질 kinase인 SOS2가 기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 또한 발견하였다. 염분 스트레스가 없는 상황에서 GI:SOS2 복합체는 SOS2의 발현을 기반으로 하는 SOS1의 활성화를 억제한다. SOS1은 major plant Naþ/Hþ-antiporter로 염분스트레스에 대한 적응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이다. GI를 과발현하는 식물체에서는 향상.. Salt-Stress Signaling 염분 스트레스는 식물 생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양의 염분 농도가 점차 증가한다는 것은 식량 공급 유지를 위해서 증가하는 염분 농도에 내성을 가지는 작물을 개발해야 하는 필요성 또한 점차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금 적응은 고염도 스트레스에 대한 다양한 반응 메커니즘의 네트워크로 구성되어있다. 다른 스트레스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메커니즘은 염분 스트레스 신호를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이 것 외에 염분스트레스를 어떻게 인지하고, 어떻게 신호로 바뀌어 전달되는지에 대해서는 이온 항상성, 삼투 조절에 대한 메커니즘이 관여한다는 것 외에 자세히 연구되지 못했다. 본 리뷰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분자 수준에서의 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기작을 정리하였고, 특히 효모와 애기.. Osmotin Is a Homolog of Mammalian Adiponectin and Controls Apoptosis in Yeast througha Homolog of Mammalian Adiponectin Receptor 식물 방어 단백질의 PR-5 계열의 항진균 활성은 진균 표적의 특정 원형질막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스모틴은 담배 PR-5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로 효모에서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이다. 본 논문에서는 ORE20/PHO36 (YOLOO2c)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이 오스모틴에 대한 완전한 민감성에 필요한 오스모틴 결합 원형질막 단백질임을 보였다. PHO36은 삼투질로 유도된 세포 사멸 대사경로에서 RAS2의 upstream에서 기능하는 단백질이다. 포유류에서 PHO36의 homolog는 adiponectin 호르몬의 수용체이며 세포 지질과 당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스모틴과 아디포넥틴은 서열 유사성을 공유하지 않지만 두 단백질은 barrel domain을 공유할 수 .. Osmotin, a Plant Antifungal Protein, Subverts Signal Transduction to Enhance Fungal Cell Susceptibility 식물에서 항병원체 단백질로 작용하는 오스모틴은 효모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세포독성 물질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스모틴이 신호전달경로를 사용해서 세포벽의 방어 장벽을 약화시켜 독성 작용을 강화하는 작용을 연구하였다. 이 경로는 오스모틴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mating 경로와도 연관이 있다. 그러나 페로몬 수용체나 관련된 단백질들은 필요하지 않은 것 또한 함께 밝혔다. Isolation of Osmotin-Resistant Mutants of S. cerevisiae 오스모틴에 대한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해 오스모틴에 특이적으로 민감한 균주와, 오스모틴에 내성을 가지는 돌연변이체를 분류해 얻었다. 유전자 발현 확인을 통해 오스모틴에 대한 민감도를 측정하기에 적당한 균주를 얻은 것을 확인하였다. Element.. Stress proteins on the yeast cell surface determine resistance to osmotin, a plant antifungal protein Osmotin은 식물 생체반응 단백질로 식물과 병원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물질이다. 식물과 병원체 사이의 상호작용은 신호 전달을 통해 이루어진다. TMV(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서 병원체에 감염된 뒤 축적되는 단백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런 단백질들을 PR(pathogenesis related) protein이라고 한다. 병원체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발현이 유도되어 곰팡이(병원체)를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면역반응에 관여하게 된다. 이러한 PR protein들은 invitro, invivo 모두에서 곰팡이 생장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이러한 작용이 조절되는지 밝히고자 했다. 효모는 병원균에 속하면서 증식과 군집화를 하는 특징을 가지는 강력.. Metabolic engineering of medicinal plants: Transgenic Atropa belladonna with an improved alkaloid composition 재조합 DNA를 활용해서 세포 내 대사과정에 개입하는 연구는 기초 과학연구, 농업, 제약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런 재조합 DNA로 타겟 유용물질을 생성하게 하는 과정에서 생물체 내의 2차대사는 해당 생물체의 기본적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유용물질의 생산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연구분야이다. 실제로 다양한 유용물질의 생산이 2차대사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Tropane alkaloids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면서 대개 염기로 질소원자를 가지는 화합물 중 tropane 계열의 물질을 일컫는다. Hyoscyamine, scopolamine 등이 대표적인 tropane alkaloids에 속하며 이 물질들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제약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두 .. 리스트를 파일로 만들어두고 grep 수행하기 텍스트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는 라인을 추출하고자 할 때 grep 을 자주 쓰는데 가끔 특정 문자열이 2개 이상일 때, 어떤 리스트 형태의 문자열들을 검색 대상인 텍스트파일에서 찾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를 테면 아래와 같이 Target gene list 가 있고, 전체 gene list에 대한 annotation file이 있을때 # target_genelist.txt gene1 gene2 gene5 #all.gene.annotation.bed chr1 11011 11040 gene1 chr1 1101144 1104090 gene2 chr1 2311011 2511040 gene3 chr1 3411011 3911040 gene4 chr1 11011011 11016040 gene5 다음과 같이 Tar.. 윈도우 -> 리눅스 텍스트파일 개행문자 제거 가끔 윈도우에서 생성된 텍스트파일을 리눅스로 옮겼을 때, 프로그램이 원하는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석사 초기에 이런 문제가 있었을 때에는 대체 뭐가 문제야(..) 하고 몇 날을 고민했던 적도 있었던 것 같은데 (가물가물) 박사과정에 접어드니 몇 가지 확인해 볼 것의 우선순위가 잡히게 됐다. 그것 중에 하나가 ^M 으로 표시되거나, 아예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 개행문자 이다. 파일을 읽어 처리하는 프로그램에서 개행문자와 관련해서 에러가 발생하는데 도저히 어디가 문제인지 모를 때, 혹은 외부에서 받은 파일을 검토할 때 확인해야 하는 사항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고 - vi 로 텍스트 파일을 열었을 때 상태 표시줄에 [dos] 라고 표시되거나, - 파일을 열었을 때 한 줄의 끝에 "^M" 표.. 이전 1 2 3 4 5 6 7 다음